본문 바로가기

[역사] 한국사

[한국사-태종] 왕자의난과 6조직계제로 강력한 왕권을 다진 피의 군주, 이방원의 업적

 

[한국사-태종] 왕자의난과 6조직계제로 강력한 왕권을 다진 피의 군주, 이방원의 업적

 

1. 생애: 1367년~1422년


2. 재위기간: 1400년 11월 28일 ~ 1418년 9월 9일


3. 휘: 이방원


4. 묘호: 태종


5. 신상정보

[KBS2 드라마 대왕세종-태종 이방원
[SBS 드라마 뿌리깊은나무-태종 이방원]
[SBS 드라마 옥룡이 나르샤-태종 이방원]
[KBS1 대하드라마 용의눈물-태종 이방원]

 출생일: 1367년 6월 13일
출생지: 고려 동계 함흥부 귀주
사망일: 1422년 5월 30일 (54세)
매장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
부친: 태조 이성계
모친: 신의황후
배우자: 원경황후
자녀: 총 29명 (12남 17녀)


6.출생 및 즉위 과정
1)공민왕 16년(1367년)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출생.
2)1392년 정몽주를 제거하면서 이성계의 다섯 아들 중 조선 건국에 가장 큰 공을 세움.
3)1398년 1차 왕자의난, 1400년 2차 왕자나의 난을 거치며 조선의 제 3대 왕으로 즉위.


7. 주요 업적 및 삶

 

1) 6조 직계제
6조의 판서가 나라일을 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제도를 시행하여 행정업무에 대한 왕의 권한을 강화시킨 반면, 의정부의 역할을 축소했다.


2) 사병혁파
왕자의 난을 발생하고 진압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사병이 있었기 떄문이다. 태종 이방원은 왕위 직후 사병을 통한 바란을 사전에 예방하는 왕권강화 방안으로 사병을 혁파시켰다.


3) 외척탄압
태종 이방원을 왕으로 만들어준 일등 공신이 원경항후 민씨 세력이었다. 하지만 왕권강화를 위해 처남을 사사 하는 등 외척을 강력하게 탄압했다.


4) 사간원의 독립
사간원의 독립은 언관제도의 분리를 의미한다. 즉, 간쟁을 관장하던 '문화부낭사'를 사간원으로 부터 독립시켜 '문화부낭사'의 직송 상관을 왕으로 만든 왕권강화 정책 중 하나이다.


5) 거북선 제작
왜구를 대비하기 위해 수군을 강화시키며 1413년부터 1415년까지 거북선을 개발하였다.


6) 지방제도 정비
고려말의 문란한 지방제도를 개편하였다.
1요도부.6부.5대도호부.20목.74도호부.73군.154현으로 지방행정을 정비하였다.
8도 체제를 확립함과 동시에 향.소.부곡도 가까운 군.현으로 이속시켜 점진적 소멸을 시행했다.


7) 군사제도 정비 및 국방 강화
군사력을 바탕으로 즉위한 태종이기에 군사에 관심이 많았다. 왕개인을 위한 군사를 위해 수하병을 갑사로 편입시키고 의관자제 중 무예에 띄어난 자를 뽑아 별시위로 편성하였다.


8) 토지 . 조세제도 정비
'양전사업'을 시행하여 120만여 결의 전지를 확보했다.
'공신전전급법'을 정해 공.사 천인의 자손과 기첩 및 천첩의 공신전 전급을 금했다.
'원종공신전'의 '세습제'를 폐지하고 외방에 퇴거한 자의 과전을 몰수하였다.


9) 조세 수송책 강구
고려말 육지로 운송하던 조세 수송책을 경상도를 제외하고 배로 나르도록 조세 수송책을 강구시켰다.


10) 신문고 설치
1401년 신문고를 설치해 백성이 억울한 일을 자유롭게 청원하거나 상소할 수 있게 하였다.


11) 교육 및 과거 제도 정비
1407년 항교의 진흥책 마련과 동시에 1407년~1411년에 권학사목과 국학사의를 정하고, 4부학당을 건축했다.
1417년 부터는 학당의 경비를 지급했으며, 기술 교육을 위해 10학을 설치하고 제조를 두었다.
1401년 문과고강법을 제정했으나 141년에는 관학생에게 사장시험을 실시하여 제술을 더 중시했다.
1413년 고려시대 부터 지속된 '공거', '좌주문생제'를 혁파하였다.


12) 유교의례 보급 및 불교와 도참사상 억제
1403년부터 주자의 <가례>를 관원에게 시험했으며 보급했다.
또한, 개인적인 자연신항을 국가신앙으로 이끌면서 유교적인 제사 의식을 정비하였다.
1414년에 연등을 폐지, 1416년에는 상원장등을 폐지시켰다. 도첩제를 강화하고 각종 부역에 승려를 동원하는 등 불교 배척을 강행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조선왕조실록, 위키페디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