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전지왕] 상좌평 직위를 만들어 해씨 세력을 견제한 임금

1. 생애: 생년 미상~420년
2. 재위기간: 405년~420년
3. 휘: 부여전
4. 묘호: '없음'
5. 신상정보


출생일: 생년 미상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420년
매장지: 확인불가
부친: 아신왕
모친: 진씨
배우자: 팔수부인
자녀: 2남
6. 출생 및 즉위 과정
1) 출생은 생년 미상으로 확인불가.
2) 백제 17대 왕 아신왕의 장남으로 탄생.
3) 394년(아신왕 3년)에 태자에 책봉.
4) 어린 시절 왜국의 볼모로 건너갔으며, 405년 아신왕이 죽은 후 스스로 왕을 자처한 설례를 죽이고 백제 18대 왕으로 즉위.
7. 주요 업적 및 삶
1) 일본 생활
전대 왕인 아신왕은 고구려와의 전투에서 계속 패하게 되자 왜국과 우호관계를 맺는다. 우호관계를 맺음에 따라 당시 태자인 전지왕은 397년 볼모로 왜국으로 건너가며 405년까지 왜국 생활을 지속하였다.
2) 부여설례(아신왕의 막내 동생)의 내란
아신왕이 죽고 그의 첫째 동생 부여훈해가 섭정을 맡고 있었는데 왕실에서 내분이 발생하였다.
당시 왜에서 귀국하는 도중에 전지왕은 신하 해충에게서 내분이 일어난 것을 알고 섬에서 잠시 물렀다. 그 뒤 해씨 세력은 부여훈해를 시해하고 후임 섭정을 사칭하여 내분을 일이 큰 부여설례를 죽이면서 전지왕을 즉위시키고, 그 이후에 전지왕이 백제에 들어온 것으로 파악된다.
3) 상좌평 직위 신설
전지왕은 408년 백제 군사와 정사를 총괄하는 '상좌평' 직위를 신설하여 '부여신'을 상좌평으로 임명하였다.
부여신을 상좌평으로 임명한 것은 당시 내법좌평, 병관좌평이 임명된 해씨 세력을 견제하기 위함으로 추정된다.
4) 사구성 축조
전지왕은 417년 7월에 동부와 북부 2부의 15세 이상 되는 사람들을 징발하여 사구성을 쌓게 하고 병관좌평인 해구를 시켜 이일을 감독하게 하였다.
5) 동진과 왜의 외교
백제 전지왕은 동진과 왜와의 관계를 긴밀하게 살폈다. 당시 동진에 많은 조공을 보내어 416년 '진동장군 백제왕'의 칭호를 받았으며, 야명주를 보내온 왜의 특사를 후히 대접한 뒤 비단 열 필을 사은품으로 보냈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백제왕조실록, 위키페디아 참조]
'[역사]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비유왕] 신라와의 나제동맹 서막을 시작한 왕 (3) | 2020.06.26 |
---|---|
[한국사-구이신왕] 고구려를 견제하고자 송나라와 외교관계를 맺은 왕 (3) | 2020.06.25 |
[한국사-아신왕] 고구려에 대항하기 위해 왜국과 연합을 시도한 임금 (5) | 2020.06.17 |
[한국사-진사왕]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남진 정책에 밀린 왕, 진사왕의 업적 (1) | 2020.06.15 |
[한국사-침류왕] 백제 역사 처음으로 불교를 수용한 임금, 침류왕의 업적 (1) | 2020.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