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비유왕] 신라와의 나제동맹 서막을 시작한 임금

1. 생애: 생년 미상~455년
2. 재위 기간: 427년~455년
3. 휘: 부여비유(부여비)
4. 묘호: '없음'
5. 신상정보
출생일: 생년 미상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427년
매장지: 확인불가
부친: 구이신왕
모친: 팔수부인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확인불가
6. 출생 및 즉위 과정
1) 출생은 생년 미상으로 확인불가.
2) 백제 19대 왕 구이신왕의 맏아들 혹은 18대 전지왕의 서자라는 일설이 있음.
3) 427년 백제 20대 왕으로 즉위하였으나 428년까지 해충이 섭정.
7. 주요 업적 및 삶
1) 생애에 대한 다양한 기록
<삼국유사>에 의하면 구이신왕의 장남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삼국사기>에는 전지왕의 서자라는 설이 있지만 전지왕 서자 설은 분명치 않다고 기록하고 있다.
<일본서기>에는 구이신왕의 아들로 등장한다. 그리고 왜의 '신찬성씨록'의 의하면 비유왕을 시조로 받드는 성씨로는 불파련씨와 보조호조씨가 있다 한다.
2) 신라와 동맹
433년 신라에 사자를 보내 화친을 요청하였으며 선물의 교환을 통해서 신라의 수호가 성립하여, 533년까지 동맹 관계를 유지하였다.
3) 고구려 견제
429년에 중국 남조에 송나라에 파견하였고, 다음 해에는 송나라로부터 선왕이 받았던 '사지절 도독 백제제군사 진동장군 백제왕'이라는 작호를 다시 받았다.
비유왕은 중국 남조, 송, 신라, 왜국의 협조 체제를 가지면서 북조, 북위와 연결한 고구려에 반항하는 태세를 만들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백제왕조실록, 위키페디아 참조]
'[역사]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문주왕] 백제 수도를 한강에서 웅진으로 천도한 왕 (4) | 2020.06.30 |
---|---|
[한국사-개로왕] 장수왕에게 한강 유역 일대를 빼앗기고 살해당한 왕 (1) | 2020.06.29 |
[한국사-구이신왕] 고구려를 견제하고자 송나라와 외교관계를 맺은 왕 (3) | 2020.06.25 |
[한국사-전지왕] 상좌평 직위를 만들어 해씨 세력을 견제한 임금 (6) | 2020.06.24 |
[한국사-아신왕] 고구려에 대항하기 위해 왜국과 연합을 시도한 임금 (5) | 2020.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