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한국사

[한국사-고국원왕] 평양성 전투에서 근초고왕에 의해 사망한 비운의 왕

[한국사-고국원왕] 평양성 전투에서 근초고왕에 의해 사망한 비운의 왕

1. 생애: 생년 미상~371년


2. 재위기간: 331년~371년


3. 휘: 고사유


4. 묘호: 고국원왕, 국원왕, 시호: 국강상왕 


5. 신상정보

[KBS1 드라마 근초고왕-고국원왕]
[KBS1 드라마 근초고왕-고국원왕]

[고국원왕 당시 동북아시아 지도]
[고국원왕 무덤, 출처: KBS1 역사스페셜]
[고국원왕 당시 전연과 백제의 공격]


출생일: 확인불가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371년
매장지: 고국원 혹은 국강상 -> 안악 3호분(황해남도 안악군 오국리)
부친: 미천왕
모친: 주씨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2남 이상

6. 출생 및 즉위 과정
1) 고구려 15대 미천왕과 왕후 주씨의 첫째 아들로 탄생. 
2) 2314년 고구려 황태자에 책봉.
3) 331년 미천왕의 뒤를 이어 고구려 16대 왕으로 즉위함.


7. 주요 업적 및 삶

1) 전연과의 전쟁
339년에 전연이 쳐들어와 신성에 이르렀으나 고국원왕이 동맹을 청하자 전연은 물러갔다. 
이때 맺은 동맹 관계에 따라, 340년에 전연에 정치하기도 하였다. 342년 겨울에 모용황은 용성으로 천도한 후,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로 쳐들어왔다. 
모용황은 왕우가 이끄는 1만 5천의 소수 군대를 평탄한 북쪽 길로 보내고, 자신은 한수와 함께 5만 대군을 이끌고 험난한 남쪽 길을 택해 공격하는 기만전술을 썼다. 
하지만 이를 알아채지 못한 고국원왕은 북쪽으로 왕제 무가 이끄는 정병 5만을 파견하고, 자신은 소수의 군대로 남쪽을 지켰다. 
결국 남쪽 전투에서 크게 패한 고구려군 중에서 장군 아불화도가가 전사하고, 환도성이 함락되었으며, 고국원왕은 단신으로 단웅곡으로 피신하였다.


2) 미천왕릉 도굴 사건
고국원왕을 추격한 전연군은 모후 주씨와 왕비를 포로로 잡았으나 북쪽 길에서 고국원왕의 동생 무의 군대를 만나 크게 패하여 퇴각하였다. 
전연군은 퇴각하는 길에 고구려 백성 5만 명을 잡아갔을 뿐만 아니라, 고국원왕의 부왕인 미천왕의 미천왕릉을 파헤쳐 미천왕의 시신까지 가져가는 만행을 저질렀다. 
343년에 고국원왕은 동생 무를 보내 전연에 신하의 예를 갖추고, 부왕인 미천왕의 시신을 돌려받았으며, 그 해 평양의 동황성으로 거처를 옮겼다.
355년에 고국원왕은 전연에 간청하여 모후 주씨를 돌려받는 한편, 전연으로부터 정동대장군 영주자사 낙랑공 고구려왕에 책봉되었다. 


3) 백제 치양성 공격
369년에 백제가 마한을 정복하러 간 틈을 타 고국원왕은 보·기병 2만 명을 이끌고 치양성(현 황해남도 배천군)으로 진격하였다. 
그러나 근초고왕의 말 말굽을 상하게 한 죄를 짓고 고구려로 달아났던 백제인 사기가 다시 백제에 투항하여 ‘고구려의 군사가 많기는 하나 모두 숫자만 채운 허세일뿐 날래고 용감한 자들은 붉은 깃발의 군대뿐’이라는 고구려의 군사정보를 백제의 근구수 태자에게 알려주었다. 
이에 고구려군의 주력부대는 백제군의 집중공격을 받고 무너져 내려 5000여 명의 피해를 입고 고국원왕은 목적을 달성하지도 못하고 오히려 백제에게 수곡성(금의 황해도 신계군)까지 영토를 내주고 말았다. 


4) 근초고왕에 의한 사망
371년에 고국원왕은 복수를 위해 군사를 일으켜 백제에 재침공하였다. 하지만 패하(대동강) 강가에 군사를 매복한   기습적으로 공격하자, 고구려군은 크게 패하고 말았다. 
기세를 탄 근초고왕은 동년 10월에 정예 군사 3만을 이끌고 평양성으로 진격해 왔고, 고구려군은 이를 어렵게 물리쳤으나 고국원왕이 전사하고 말았다. 고국원왕은 고국의 들에 장사 지내 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