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한국사

[한국사-광해군] 북인과 함께 중립외교로 실리정치를 꿈꾼 왕, 광해군

 

[한국사-광해군] 북인과 함께 중립외교로 실리정치를 꿈꾼 왕, 광해군

 

1. 생애: 1575년~1641년


2. 재위기간: 1608년 ~ 1623년


3. 휘: 이혼


4. 묘호: 없음


5. 신상정보

 

[영화 광해, 왕이된 남자-광해군]
[KBS1 드라마 징비록-광해군]
[KBS2 드라마 왕의얼굴-광해군]
[MBC 드라마 화정-광해군]

출생일: 1575년 6월 4일
출생지: 조선 한성부
사망일: 1641년 8월 7일 (66세)
매장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부친: 선조 이연
모친: 공빈 김씨
배우자: 폐비 유씨
자녀: 2명(1남 1녀)


6.출생 및 즉위 과정

 

1) 1552년 조선 제14대 왕 선조와 후궁 공빈 김씨 사이에서 선조의 차남으로 태어남.
2) 당시 선조와 왕비 사이에 자녀가 없고, 친형인 임해군이 있었으나 성질이 포악하여 광해군을 후계자로 지목.
3) 임진왜란이 발발하고 나서 세자로 책봉되었으며 왜란 당시 선조를 대신하여 군수품과 의병을 모집하여 민중들의 신망과 지지를 받음.
4) 왜란 종류 후 선조가 승하하면서 조선의 제 15대 왕으로 즉위.


7. 주요 업적 및 삶

 

1) 중립외교(실리외교)
1619년 후금의 '누르하치'가 심양 지방을 공격하여 명나라가 후금과의 전쟁에서 원군을 요청하자 강홍립.김경서를 보내어 명군을 원조한다.
이때 광해군은 후금에 본의 아닌 출병임을 해명함으로써 후금의 침략을 모면하면서 광해군이 중립외교를 펼치자 서인세력들은 크게 반발한다.
광해군의 이러한 '중립외교'는 당시 조선이 '성리학'관점으로 정치가 이루어졌기 많은 비판을 받았으며 향후 '인조반정'에 의해 폐위되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2) 대동법
1608년 선혜청을 두어 경기도에 대동법을 실시했다. 대동법은 조선시대에 공물(특산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납세제도이다.
대동법 이전 조선의 공물 제도는 각 지방에서 생산되는 특산물을 바치게 하였는데, 생산에 차질이 생기거나 자연재해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경우에도 반드시 특산물로 공물을 바쳐야만 했다. 이러한 공물의 폐단은 결국 중간 관리와 상인들만 이익을 보는 조세제도였기에 조선에서 가장 심각한 폐단 중 하나였다.


3) 동의보감 및 서적 간행 사업
1610년(광해군 3년) 허준에 의해 조선 최고의 의학서적인 '동의보감'이 완성되었다.
1610년 8월 6일에 '동의보감'을 내의원으로 하여금 국을 설치해 속히 인쇄케 한 다음 중외에 널리 배포하라고 명하였지만, 출판이 그리 쉽지는 않았기에 지방의 작은 고을까지 반포되는 데는 수십 년이 걸렸다.
그리고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서적의 간행에도 노력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용비어천가>, <동국신속삼강행실>을 다시 간행하고 <국조보감>, <선조실록>을 편찬했으며 적상산성에 사고를 설치했다. 허균의 <홍길동전> 저술도 이 당시 나왔다.


4) 양전사업
'양전'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조세 수입원의 정확한 집계를 위하여 20년마다 실시한 토지 조사 사업 및 제도이다. 국가 재정을 확보하기 위한 일종의 토지조사 사업이다.
광해군은 임진왜란 이후 황폐해진 토지를 파악하기 위해 1611년 '양전'을 실시해 경작지를 넓혀 재원을 확보하였다.


5) 폐모살제와 인조반정
1614년 광해군은 이복동생인 영창대군을 강화도에 유배하였다가 얼마 후 방안에 장작불을 지펴 죽였다. 광해군과 이이첨 일당은 영창대군 살해 시점 직후부터 각종 조작설과 허균 등을 비롯한 강경파 관료, 유생들을 동원한 상소 릴레이를 펼치며 끊임없이 '인목왕후' 폐비 공작을 전개하였고 , 1618년 폐비시켜 서궁에 유폐시켰다.
이는 성리학의 도덕주의, 도의 정치, 왕도정치를 기본 이념으로 삼던 조선 사대부들의 거센 반발을 사게 되어 '인조반정'의 결정적 명분으로 작용되었다.
뒷날 인조반정을 정당화하기 위한 책략과 명분에 의해 패륜적 혼군으로 규정되었지만, 실은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희생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때문에 같은 반정에 의해 희생된 연산군과는 성격을 달리해야 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조선왕조실록, 위키페디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