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한국사

[한국사-선덕여왕] 인평, 대야성, 비담, 염종, 선덕여왕릉, 황룡사9층목탑, 첨성대를 건립한 여왕

[한국사-선덕여왕] 인평, 대야성, 비담, 염종, 선덕여왕릉, 황룡사9층목탑, 첨성대를 건립한 여왕

 

 

1. 생애: 생년미상~647년


2. 재위 기간: 632년~647년


3. 휘: 김덕만


4. 묘호: 없음, 시호: 선덕, 왕호: 여왕


5. 신상정보

 

[EBS 점프 선덕여왕]
[KBS1 역사저널 그날, 선덕여왕]
[SBS드라마 연개소문, 선덕여왕]

 

 

[KBS1드라마 대왕의꿈, 선덕여왕]
[MBC드라마 선덕여왕, 선덕여왕]

 


출생일: 생년 미상
출생지: 신라 서라벌
사망일: 647년
매장지: 선덕여왕릉(경주시 보문동)
부친: 진평왕
모친: 마야부인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없음


6. 출생 및 즉위 과정

1) 26대 진평왕과 복숭 갈문왕의 딸 마야부인 김씨 사이에서 탄생.
2) 632년 정월에 아버지 진평왕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신라 제27대 왕으로 즉위함.


7. 주요 업적 및 삶

1) 민심 수습
선덕여왕은 즉위하던 해 632년, 대신 을제에게 국정을 총괄하게 하고, 전국에 관원을 파견해 백성들을 진휼했다.
그리고 633년에는 주·군의 조세를 1년간 면제해 주는 등 일련의 시책으로 민심을 수습하였다.


2) 인평
634년 인평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함으로써 중고 왕실의 자주성을 견지하고자 하였다.

 

 


3) 당나라 조공
즉위 이후 거의 매년 당나라에 조공 사신을 파견함으로써 당나라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기도 하였다. 이것은 고구려와 백제의 신라에 대한 공격이 빈번해짐에 따라 당나라와 연합함으로써 국가를 보존하려는 자구책의 일환으로 나타난 현상이었다.


4) 백제와 고구려의 침공
642년부터 본격적으로 고구려와 백제의 침공을 받았다.
그 해에 신라는 백제 의자왕의 침공을 받아 서쪽 변경에 있는 40여 성을 빼앗겼으며, 신라의 한강 방면 거점인 당항성도 고구려·백제의 침공을 받았다.
또한 백제 장군 윤충의 침공으로 낙동강 방면의 거점인 대야성이 함락당하였다.
이와 같은 국가적 위기에 직면한 선덕여왕은 김유신을 압량주 군주로 임명해 백제의 공격을 방어하는 한편, 643년에는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해 구원을 요청하였다.


5) 자장대사, 불국토사상, 호국사상
선덕여왕은 당나라에서 유학하던 자장에게 귀국 요청을 하였다.
자장은 귀국 후 선덕여왕과 왕실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아가며 정치권에 깊숙이 개입하여 활발한 정치적 활동을 수행해 나갔다.
자장은 불교사상을 왕권강화책으로 적극 활용함으로써 여왕의 권위와 통치력에 새로운 위상을 정립시켰다.
그 권위의 상징물로 호국 중심 사찰인 황룡사에 황룡사9층목탑을 건립하였다. 황룡사9층목탑은 높이 80m에 달하는 거대한 불탑이었다.
또한 자장은 신라가 과거세부터 불교와 인연이 깊은 ‘유연불국토’이며 강원도 오대산을 문수보살의 상주처로 설정해 신라 불국토 사상과 호국사상을 일치시켜 불력과 통합된 정치력으로 신라 왕실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다.

 

 


7) 첨성대.분황사.영묘사 건립
선덕여왕은 재위 초반 동아시아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인 첨성대를 건립하여 농사에 도움이 되게 하였다.
또한, 분황사와 영묘사 등의 사찰을 건립하였다.


8) 비담의 반란
당 태종은 신라 사신에게 “여왕이 통치하기 때문에 권위가 없어 고구려·백제 양국의 침범을 받게 되었다”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당 태종이 지적한 여왕 통치의 문제점은 신라 정계에 파문을 일으켜 647년 상대등 비담과 염종 등 진골 귀족들이 여왕이 정치를 잘못한다는 구실로 반란을 일으켰으나 김춘추와 김유신이 이를 진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