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한국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사-무령왕] 웅진시대 황금기를 만든 무령왕릉의 주인 [한국사-무령왕] 웅진시대 황금기를 만든 무령왕릉의 주인 1. 생애: 462년~523년2. 재위 기간: 501년~523년3. 휘: 부여사마4. 묘호: '없음', 시호: 무령5. 신상정보 출생일: 462년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477년 매장지: 충남 공주시 웅진동 57 부친: 동성왕(혹은 개로왕의 동생 혼지.곤지의 아들) 모친: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확인불가6. 출생 및 즉위 과정1) 백제 23대 왕 동성의 둘째 아들(백제신찬, 일본서기) 혹은 개로왕의 동생 곤지의 아들로 462년 탄생.(삼국사기, 삼국유사) 2) 501년 12월 위사좌평 백자가 보낸 자객에게 동성왕이 죽자 그 뒤를 이어 백제 25대 왕으로 즉위함.7. 주요 업적 및 삶1) 백가 토벌 동성왕의 반대파에 의해 추대된 무령왕은 한솔 .. 더보기 한국사-동성왕] 백제 웅진시대 왕권강화에 힘쓴 왕 한국사-동성왕] 백제 웅진시대 왕권강화에 힘쓴 왕 1. 생애: 생년 미상~501년2. 재위 기간: 479년~501년3. 휘: 부여모대4. 묘호: '없음'5. 신상정보 출생일: 479년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477년 매장지: 확인불가 부친: 문주왕 모친: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확인불가6. 출생 및 즉위 과정1) 출생은 생년 미생으로 확인불가. 2) 백제 22대 문주왕의 동생인 곤지의 아들로서 진씨 세력의 의해 479년 백제 24대 왕으로 즉위함. 3) 479년부터 482년까지 진로가 실권을 맡았고 482년부터 501년 죽을 때까지 친정함. 7. 주요 업적 및 삶1) 왕권의 회복 금강 유역권을 지배기반으로 한 신진세력들을 중앙귀족으로 등용해 자신의 세력 기반을 구축하며, 한성에서 온 남래귀족과의 세.. 더보기 [한국사-삼근왕] 신흥귀족 진씨세력에 살해당한 왕 [한국사-삼근왕] 신흥귀족 진 씨 세력에 살해당한 왕 1. 생애: 생년 465년~479년2. 재위기간: 477년~479년3. 휘: 부여삼근4. 묘호: '없음'5. 신상정보 출생일: 465년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477년 매장지: 확인불가 부친: 문주왕 모친: 왕후 곽씨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확인불가6. 출생 및 즉위 과정1) 465년 백제의 제22대 문주왕의 맏아들로 탄생. 2) 477년 문주왕이 피살된 상태에서 13세의 어린 나이로 백제의 제23대 왕으로 즉위함. 3) 즉위했을 때 나이가 어렸기에 좌평 해구에게 섭정으로 국정을 위임. 7. 주요 업적 및 삶1) 왕실의 권위 하락 당시 백제는 고구려에게 쫓겨 웅진으로 천도한 475년이래로 왕실의 권위가 떨어지고, 귀족들이 발호하여 통제하기 어려웠.. 더보기 [한국사-문주왕] 백제 수도를 한강에서 웅진으로 천도한 왕 [한국사-문주왕] 백제 수도를 한강에서 웅진으로 천도한 왕 1. 생애: 생년 미상~477년2. 재위 기간: 475년~477년3. 휘: 부여도4. 묘호: '없음'5. 신상정보 출생일: 생년미상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477년 매장지: 확인불가 부친: 개로왕 모친: 확인불가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확인불가6. 출생 및 즉위 과정1) 출생은 생년 미상으로 확인불가. 2) 백제 21대 왕 비유왕의 장남으로 왕자로 있을 때 아버지 개로왕을 보좌하여 상좌평을 역임. 3) 475년 고구려군 침략에 개로왕이 죽자 뒤를 이어 백제의 제21대 왕으로 즉위함. 7. 주요 업적 및 삶1) 상좌평 역임 왕자 시절 아버지 개로왕을 보좌하여, 최고 관직인 상자평을 역임하였다. 475년 9월 고구려에게 위례성이 포위되는 위기를.. 더보기 [한국사-개로왕] 장수왕에게 한강 유역 일대를 빼앗기고 살해당한 왕 [한국사-개로왕] 장수왕에게 한강 유역 일대를 빼앗기고 살해당한 왕 1. 생애: 생년 미상~475년2. 재위 기간: 455년~475년3. 휘: 부여경사(부여경)4. 묘호: '없음'5. 신상정보 출생일: 생년미상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475년 매장지: 확인불가 부친: 비유왕 모친: 확인불가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확인불가6. 출생 및 즉위 과정1) 출생은 생년 미상으로 확인불가. 2) 백제 20대 왕 비유왕의 장남으로 부왕 사후 백제 21대 왕으로 즉위함. 3) 이름은 '여경' 또는 '경사', 또는 '근개루왕'이라고도 함.7. 주요 업적 및 삶1) 북위에 구원병 파견 요청 472년 북위에 구원병 파견을 요청하는 국서를 보내 북위가 백제와 함께 고구려를 협공해야 하는 이유와 성공 가능성을 보고하며 설.. 더보기 [한국사-비유왕] 신라와의 나제동맹 서막을 시작한 왕 [한국사-비유왕] 신라와의 나제동맹 서막을 시작한 임금 1. 생애: 생년 미상~455년2. 재위 기간: 427년~455년3. 휘: 부여비유(부여비)4. 묘호: '없음'5. 신상정보 출생일: 생년 미상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427년 매장지: 확인불가 부친: 구이신왕 모친: 팔수부인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확인불가6. 출생 및 즉위 과정1) 출생은 생년 미상으로 확인불가. 2) 백제 19대 왕 구이신왕의 맏아들 혹은 18대 전지왕의 서자라는 일설이 있음. 3) 427년 백제 20대 왕으로 즉위하였으나 428년까지 해충이 섭정. 7. 주요 업적 및 삶1) 생애에 대한 다양한 기록 에 의하면 구이신왕의 장남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에는 전지왕의 서자라는 설이 있지만 전지왕 서자 설은 분명치 않다고 기록하고 .. 더보기 [한국사-구이신왕] 고구려를 견제하고자 송나라와 외교관계를 맺은 왕 [한국사-구이신왕] 고구려를 견제하고자 송나라와 외교관계를 맺은 왕 1. 생애: 생년 미상~427년2. 재위 기간: 420년~427년3. 휘: 부여구이신4. 묘호: '없음'5. 신상정보 출생일: 생년 미상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427년 매장지: 확인불가 부친: 전지왕 모친: 팔수부인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확인불가6. 출생 및 즉위 과정1) 출생은 생년 미상으로 확인불가. 2) 백제 18대 왕 전지왕과 팔수부인의 장남으로 탄생. 3) 부왕인 아신왕이 젊은 나이에 승하 후 420년 백제 19대 왕으로 즉위. 7. 주요 업적 및 삶1) 살해설 삼국사기에서는 기록이 즉위년도와 사망 연도 단 두 줄 뿐, 일본서기 외 기록이 없는 왕이다. 구이신왕은 잔정 중 목만치 또는 비유왕 두 세력 중 누군가가 살해했.. 더보기 [한국사-전지왕] 상좌평 직위를 만들어 해씨 세력을 견제한 임금 [한국사-전지왕] 상좌평 직위를 만들어 해씨 세력을 견제한 임금 1. 생애: 생년 미상~420년2. 재위기간: 405년~420년3. 휘: 부여전4. 묘호: '없음'5. 신상정보 출생일: 생년 미상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420년 매장지: 확인불가 부친: 아신왕 모친: 진씨 배우자: 팔수부인 자녀: 2남6. 출생 및 즉위 과정1) 출생은 생년 미상으로 확인불가. 2) 백제 17대 왕 아신왕의 장남으로 탄생. 3) 394년(아신왕 3년)에 태자에 책봉. 4) 어린 시절 왜국의 볼모로 건너갔으며, 405년 아신왕이 죽은 후 스스로 왕을 자처한 설례를 죽이고 백제 18대 왕으로 즉위.7. 주요 업적 및 삶1) 일본 생활 전대 왕인 아신왕은 고구려와의 전투에서 계속 패하게 되자 왜국과 우호관계를 맺는다. 우호.. 더보기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