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한국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사-고국양왕] 후연을 공격하여 요동군과 현도군을 점령한 왕 [한국사-고국양왕] 후연을 공격하여 요동군과 현도군을 점령한 왕 1. 생애: 생년 미상~391년 2. 재위기간: 384년~391년 3. 휘: 고이련 4. 묘호: 고국양왕, 시호: 국양왕 5. 신상정보 출생일: 확인불가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391년 매장지: 고국양원(천추총으로 추정) 부친: 소수림왕 모친: 확인불가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1남 6.출생 및 즉위 과정 1) 고구려 16대 고국원왕과 둘째 아들로 태어남. 2) 384년 소수림왕이 승하함과 동시에 후사가 없기에 뒤를 이어 고구려 18대 왕으로 즉위함. 7. 주요 업적 및 삶 1) 후연 공격 소수림왕 때의 국가 제도 정비를 통하여 신장된 국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대외활동을 전개하였다. 서쪽으로는 385년 후연을 공격하여 요동군과 제3현도군.. 더보기 [한국사-소수림왕] 불교도입/태학설립/율령반포 등 국가 체제를 정비한 왕 [한국사-소수림왕] 불교도입/태학설립/율령반포 등 국가 체제를 정비한 왕 1. 생애: 생년미상~384년 2. 재위기간: 371년~384년 3. 휘: 고구부 4. 묘호: 소수림왕, 국원왕, 시호: 소해주류왕, 해미류왕 5. 신상정보 출생일: 확인불가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384년 매장지: 소수림원 부친: 고국원왕 모친: 확인불가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확인불가6.출생 및 즉위 과정 1) 고구려 16대 고국원왕과 첫째 아들로 탄생하여 355년 태자로 책봉 2) 371년 평양성 전투에서 사망한 고국원왕의 뒤를 이어 고구려 17대 왕으로 즉위함.7. 주요 업적 및 삶 1) 불교도입 고국원왕 대의 대외 진출 기도의 실패 등으로 말미암은 고구려 사회의 동요를 극복하기 위해 일련의 체제 정비를 도모하였다. 3.. 더보기 [한국사-고국원왕] 평양성 전투에서 근초고왕에 의해 사망한 비운의 왕 [한국사-고국원왕] 평양성 전투에서 근초고왕에 의해 사망한 비운의 왕 1. 생애: 생년 미상~371년 2. 재위기간: 331년~371년 3. 휘: 고사유 4. 묘호: 고국원왕, 국원왕, 시호: 국강상왕 5. 신상정보 출생일: 확인불가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371년 매장지: 고국원 혹은 국강상 -> 안악 3호분(황해남도 안악군 오국리) 부친: 미천왕 모친: 주씨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2남 이상 6. 출생 및 즉위 과정 1) 고구려 15대 미천왕과 왕후 주씨의 첫째 아들로 탄생. 2) 2314년 고구려 황태자에 책봉. 3) 331년 미천왕의 뒤를 이어 고구려 16대 왕으로 즉위함. 7. 주요 업적 및 삶 1) 전연과의 전쟁 339년에 전연이 쳐들어와 신성에 이르렀으나 고국원왕이 동맹을 청하자 전연은.. 더보기 [한국사-미천왕] 낙랑군과 대방군을 정복한 소금장수 출신 왕 [한국사-미천왕] 낙랑군과 대방군을 정복한 소금장수 출신 왕 1. 생애: 생년 미상~331년2. 재위기간: 300년~331년 3. 휘: 고을불, 고을불리, 고우불 4. 묘호: 미천왕, 시호: 호양왕 5. 신상정보 출생일: 확인불가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331년 매장지: 미천지원(황해도 안악군 애 안악 제3호분을 미천왕 무덤으로 추정) 부친: 고돌고 모친: 확인불가 배우자: 왕후 주씨 자녀: 2남6.출생 및 즉위 과정 1) 고구려 13대 서천왕의 손자이며 고추가 고돌고의 아들로 탄생. 2) 293년 아버지가 봉상왕에 의해 반역 혐의로 죽임을 당해 머슴.소금장수 등으로 전전 3) 300년 14대 봉상왕이 자살하고 국상 창조리 등에 의해 고구려 15대 왕으로 즉위함.7. 주요 업적 및 삶 1) 대외평창정.. 더보기 [한국사-봉상왕] 모용외 침략을 받고 국상 창조리를 죽이려한 폭군 [한국사-봉상왕] 모용외 침략을 받고 국상 창조리를 죽이려한 폭군 1. 생애: 생년미상~300년 2. 재위기간: 292년~300년 3. 휘: 고상부, 고삽시루 4. 묘호: 없음, 시호: 봉상왕, 치갈왕 5. 신상정보 출생일: 확인불가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300년 매장지: 봉산원 부친: 서천왕 모친: 왕후 우씨 배우자: 확인불가 자녀: 2남 이상6.출생 및 즉위 과정 1) 13대 서천왕의 첫째 아들로 탄생하였으며 어려서 부터 교만하고 방탕한 것으로 기록. 2) 292년 서천왕이 죽자 뒤를 이어 고구려 제 14대 왕으로 즉위함.7. 주요 업적 및 삶 1) 왕권 강화를 위해 가족을 시해 왕위에 오른 봉상왕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숙신을 격파해 국민의 존경을 받고 있던 숙부 안국군 달가를 음모로 살해하였.. 더보기 [한국사-서천왕] 숙신의 공격을 달가를 보내 격퇴시킨 왕 [한국사-서천왕] 숙신의 공격을 달가를 보내 격퇴시킨 왕 1. 생애: 생년미상~292년 2. 재위기간: 270년~292년 3. 휘: 고약로, 고약우 4. 묘호: 없음, 시호: 서천왕, 서양왕 5. 신상정보 출생일: 확인불가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292년 매장지: 서천원(칠성산 211호묘로 서천왕릉 추정) 부친: 중천왕 모친: 왕후 연씨 배우자: 왕후 우씨 자녀: 2남6.출생 및 즉위 과정 1) 12대 중천왕의 둘째 아들로 255년 태자로 책봉. 2) 270년 중왕이 죽자 뒤를 이어 고구려 제 13대 왕으로 즉위함. 7. 주요 업적 및 삶 1) 숙신의 침략 280년 숙신(퉁구스계 민족)이 쳐들어오자 동생 달가를 보내 이를 격퇴하게 했다. 달가는 단로성을 빼앗아 추장을 죽이고, 6백여 가구를 부여 남쪽.. 더보기 [한국사-산상왕] 형사취수제를 실천하고 수도를 환도성으로 천도한 왕 [한국사-산상왕] 형사취수제를 실천하고 수도를 환도성으로 천도한 왕 1. 생애: 생년미상~227년2. 재위기간: 197년~227년3. 휘: 고연우, 이이모4. 묘호: 없음, 시호: 산상왕5. 신상정보 출생일: 확인불가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197년 매장지: 산상릉(북경 북쪽 발해진 부근으로 비정) 부친: 신대왕 모친: 확인불가 배우자: 왕후 우씨, 소후 후녀 자녀: 1남6.출생 및 즉위 과정 1) 8대 신대왕의 셋째아들이며 9대 고국천왕의 동생으로 생년은 확인불가. 2) 197년 고국천왕이 아들 없이 죽자 뒤를 이어 고구려 제 10대 왕으로 즉위함.7. 주요 업적 및 삶1) 형사취수제 대표 사례 산상왕(연우)과 우씨의 결합은 형이 죽으면 형수를 취해 산다는 취수혼의 구체적 실례로서 유명하다. 부여와.. 더보기 [한국사-중천왕] 국상의 권한을 강화하고 관나부인을 수장시킨 왕 [한국사-중천왕] 국상의 권한을 강화하고 관나부인을 수장시킨 왕 1. 생애: 224~270년 2. 재위기간: 248년~270년 3. 휘: 고연불 4. 묘호: 없음, 시호: 중천왕, 중양왕 5. 신상정보 출생일: 224년 출생지: 확인불가 사망일: 270년 매장지: 중천지원 부친: 동천왕 모친: 확인불가 배우자: 왕후 연씨, 관나부인 자녀: 4남 이상 6.출생 및 즉위 과정 1) 11대 동천왕의 맏아들로 243년 태자로 책봉. 2) 248년 동천왕이 죽자 뒤를 이어 고구려 제 12대 왕으로 즉위함. 7. 주요 업적 및 삶 1) 예물의 난 진압 중천왕 즉위와 더불어 동생 예물과 사구 등이 모반하자 이들을 처형하고 왕위를 지켰다. 2) 국상의 권한 확대 250년 국상 명림어수로 하여금 군사관계의 일도 아울러 .. 더보기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8 다음